- 바꿀 수 없는 것을 바꾸려고 함. 이것을 '어리석음'이라 한다. -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지 않음. 이것을 '나태함'이라 한다. -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임. 이것을 '평온함'이라 한다. -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려고 함. 이것을 '용기'라 한다. 어리석음->나태함->평온함->용기 누군가를 바꾸려고 하지 말자. 부모를 원망해보았자 소용이 없다. 우주의 법칙에 따라 서로가 이번 생에 인연이 된 것을 부모를 바꾸려고 하기보다는 스스로를 받아들일때 비로소 평온함이 찾아온다. 누가 잘못했든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냥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바꿀수 없는 것을 바꾸려고 하지 말자. 그것이 특히 타인에 관한것이라면 쓸데 없는 에너지를 낭비하는것과 같다. 바꾸고 싶다면 내 자신을 ..
아이는 열심히 놀아야 한다. 열심히 놀면서 커야 제대로 성장을 할 수 있다. 요즘 부모들을 보면 아이를 스스로 생각할 수 없도록 만든다. 학습지이며 학원 공부이며 이것저것 다른 아이들보다 뒤쳐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시키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것은 많이 잘못된 사실이다. 아이는 스스로를 의식하지 않는다. 아이는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세상에 반응한다. 반면에 많은 어른들은 감탄과 놀라움, 그리고 겨오이감 같은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남들이 자신을 너무 단순하다고, 또는 너무 유치하다고 생각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아이들이야말로 현재를 즐길수 있는 가장 최적의 상태이다. 항상 아이들은 삶을 온전히 즐긴다. 많은 어른들은 어린이들의 활기를 아주 조금이라도 배우고 싶어한다. 현재에..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남녀 마음 이야기 자기 마음대로 살려면 혼자 살아야 합니다. 결혼하고 다른 사람과 같이 살려면 상대와 맞춰야 합니다. 자식을 낳았으면 책임을 져야합니다. 자식은 부모를 닮습니다. 자기의 싫은 모습을 안 닮게 하려면 여러분이 변해야 합니다. 내가 온전한 상태에서 상대와 관계를 맺을 때 상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내가 온전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기대하는 것이 없습니다. 기대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상대를 더 잘 이해하고 상대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상대에게 덕을 보겠다는 생각으로 사람을 고르면, 백 명 중에 고르고 골라도 막상 고르고 나면 엉뚱한 사람을 골라 결국엔 후회하게 됩니다. 결혼생활을 잘하려면 상대에게 덕 보려고 하지 말고 "손해 보는 것이 이익이다"는 ..
타인 및 세상과 소통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 함몰되어 사는 삶을 경계하라. 열등감은 우월감의 동전의 뒷면이다. - 알프레드 아들러 - 모든 일에는 균형이 필요하다. 타인만 생각하는 삶도 자기 자신만 생각하는 삶도 불균형적이다. 열등감에 젖은 삶도 우월감에 도취된 삶도 불균형적이다. 우리의 삶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된다. 무의식이 습관을 지배하지만 결국 의식과 무의식은 하나다. 어떤 충동이나 욕망이 강렬하게 나타나도 삶속에서 '의식적'으로 이기며 살아간다. 사회화 훈련은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열등감은 사회적 부적응을 통해 발생하기 때문에 사회화 훈련은 열등감을 극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성취와 타인에 대한 기여라는 ..
트랜스(=trans) 상태 트랜스(=trans)라는 말의 의미를 이해해야한다. 트랜스의 사전적 의미는 "의식이 없고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 통제력을 갖지 못하는 가수면 상태"이다. 즉, 무언가에 강하게 집중하여 오로지 그곳으로 정신이 집중된 상태를 의미한다. 자신이 즐거워하는 일, 취미, 게임, 대화, 글쓰기 등 몰입이 가능한 요소들은 얼마든지 많다. 안타깝게도 인간은 긍정적인것보다 부정적인것에 더 깊게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무가치함에 대해 트랜스 상태에 빠진 사람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지 못한다. 그 공허감을 메우기 위해 폭식을 하거나 과음을 하거나 약물, 인간관계에 대한 집착, 건전하지 못한 일 중독에 빠지게 되고 그 부정적인 트랜스 상태는 강화된다. 부정적 트랜스 상태에서 빠져나오기 ..